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 청년도약 계좌/가입자격 조건 수령액 신청기간

by ekapro 2023. 4. 16.
반응형

2023년 청년만 최대 5천만 원 지원받을 수 있는 저축상품이 나왔습니다. 대한민국 청년 만 19세~34세라면 가입하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 계좌 좋은점

 

서민금융진흥원 https://www.kinfa.or.kr/index.jsp

 

[1] 가입후 3년(이상)은 고정금리 적용 예정, 저소득층에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부여하도록 협의, 금리수준은 확정 후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 공시 예정

 

[2] 관계법령상 취급이 허용되어 있으며, 일정요건을 갖춘 ‘금융회사등’ 중 취급을 희망하는 기관을 모집

 

[3] 비대면으로 매월 가입접수  심사(개인소득+가구소득) 운영, 유지심사(개인소득)를 통해 기여금 지급여부·규모 조정

 

[4] 다른 청년 지원상품과의 연계를 강화하며, 계좌유지 지원방안 등 추진

 

가입자격 및 조건

1.만 19~34세(병역 이행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 )

2.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단,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상은 정부기여금 지급 안함

4.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됨 (이자 + 배당소득 2,000만원 초과)

5.지자체 자산형성상품 및 내일채움공제 동시가입 허용,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수 없음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일때 얼마인지 아시나요?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중위소득확인하기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2

 

 

♥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 19~34세의 총 급여소득 수준이 750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 자영업자는 연      소득이 6300만 원 이하에 해당돼야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연간 근로소        득이 6000만 원 이하에 해당되면 매달 납부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도약계좌 수령액

 

총 급여 3,500만원 A씨가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매월 70만원 납입 시 예상 만기 수령액은?

원금 합계 4,200만원 + 정부 기여금 (2.3만원 * 60개월) = 4,817만원/ 이자는 비과세 혜택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세 정보

 

​5년 만기,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 납입

총급여 기준 4,800만원 이하인 경우 월 40~60만원 납입하더라도 정부 기여금 수령할 수 있음

 

신청기간

 

2023년 6월부터 가입 신청 및 비대면 심사 예정,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

1.개인, 가구 소득은 22년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21년 소득 기준으로 가입 여부 판단.

2.1년 주기로 개인 소득 심사해서 기여금 지급 규모 조정, 예기치 못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소득 변동은 미반영

 

♥ 청년희망적금 미가입자 및  중도 해지자는 6월부터 12월 23일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

 

반응형

댓글